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미래적금

    정부가 2025년 9월 10일에 발표한 ‘청년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 핵심과 새 정책금융 상품인 청년미래적금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다. 청년 기준 연령이 확대되고, 구직촉진수당 인상, 지방 근속 인센티브 확대, 자발적 이직자 구직급여(생애 1회) 추진 등 실질 변화가 포함됐다.

     

     

    청년 기준 연령 확대

     

    • 현행 만 29세에서 만 34세로 상향
    • 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산정에서 제외
    • 연령 연동 각종 청년 지원 제도 적용 대상 확대

     

     

    청년미래적금 요약

     

    • 대상: 만 19~34세, 연소득 6000만원 이하 또는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 등 조건 충족자
    • 납입: 월 최대 50만원 자유 납입, 만기 1·2·3년 선택
    • 정부 매칭: 일반형 6%,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 우대형 12%
    • 과세: 이자소득 비과세(세부 고시는 추후 확정)
    • 신청: 은행 앱 또는 정부 통합 플랫폼 예정(세부 절차 추후 안내)

     

     

    얼마를 모을 수 있나

     

    • 월 50만원 × 36개월 = 1800만원 납입 원금
    • 일반형 6% 매칭: 월 3만원 × 36개월 = 약 108만원 → 합계 약 1908만원 + 은행 이자
    • 우대형 12% 매칭: 월 6만원 × 36개월 = 약 216만원 → 합계 약 2016만원 + 은행 이자

    보도에 따라 수치는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최종 상품설명서 확정 시 세부 조건과 계산식이 명시된다.

     

     

    구직촉진수당 인상

     

    • 현행 월 50만원에서 인상 예정(발표안 기준 60만원)
    • 구직 기간 생계 부담 경감 목적

     

     

    자발적 이직자 구직급여

     

    • 생애 1회 지급 추진
    • 시행 목표는 후속 입법과 시스템 정비에 따라 확정

     

     

    비수도권 근속 인센티브

     

    • 일반 지역 취업 청년 2년 근속 시 최대 480만원
    • 인구감소지역 취업 청년 2년 근속 시 최대 720만원

     

     

    AI·AX 인재훈련 및 일터 권리 강화

     

    • 기업 수요 연계형 AI·AX 인재 성장 트랙 운영, 다수 청년 대상 훈련 제공
    • 플랫폼·프리랜서 보호를 위한 권리보장 법제화 추진

     

     

    체크포인트

     

    • 청년미래적금은 일반형·우대형 매칭율이 다르므로 본인 자격을 먼저 확인
    • 만기 선택에 따라 목돈 규모와 유동성이 달라짐
    • 신청 채널, 세부 자격, 중도해지 규정은 최종 공고를 통해 확정

     

     

    간단 요약

     

    월 50만원 3년 납입 기준으로 일반형은 약 1908만원,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 우대형은 약 2016만원에 은행 이자가 더해진다. 청년 기준 연령 상향으로 더 많은 청년이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
    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

     

    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
    청년미래적금청년미래적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