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정읍보호소

    발생·보도: 2025년 9월 7~8일. 전북 정읍시 보호소에서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로 입양된 개 3마리 중 2마리가 안락사 후 해부 실습용 사체(카데바)로 사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동물단체는 ‘입양을 빙자한 실험’이라며 경찰 고발 방침을 밝혔습니다.

     

     

    사건 개요

     

    • 주체: 비글구조네트워크·정읍 지역단체, 전북 익산 소재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정읍시 보호소
    • 경위: 2024년 9월 22일 개발사가 “치료 후 입양”을 명분으로 3마리 인수 → 2마리 안락사 → 사체를 실습용으로 활용 의혹
    • 단체 측 근거: 진료차트 사본에 질환 진단, 치료제 ‘평가’ 표기, CT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

     

     

    핵심 쟁점

     

    1) ‘입양’ 명목이 실제로는 실험 목적이었는가
    2) 안락사 이전에 치료제 ‘평가’ 등 시험 행위가 있었는가
    3) 안락사된 유기동물 사체의 처리와 실습 활용이 적법했는가

     

     

     

     

    관련 법령 한눈에 보기

     

    • 동물보호법 제49조: 유실·유기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 금지(예외 제한).
    •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관련 규정: 기관 설치·심의 의무 위반 시 과태료 대상.
    • 동물보호법 제46조 및 관련 규정: 보호소 안락사 후 사체는 폐기물관리법 또는 동물장묘시설로 처리하도록 규정.

    ※ 실제 적용은 수사·재판에서 최종 판단됩니다.

     

     

    회사 측 알려진 입장 요약

     

    두 마리를 치료하던 중 악화되어 안락사했고, 사체는 폐기 대신 교육용으로 활용했다는 취지로 주변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의학·수의학적 쟁점

     

    • LCPD(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어린 개에서 수술로 회복하는 사례가 많아, 이 질환만으로 안락사 불가피성을 단정하기 어렵다는 전문가 견해가 있습니다.
    • ‘평가’(치료제 효과 분석)는 생체 상태에서만 가능하므로, 기록이 사실이라면 시점은 안락사 이전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가능한 법적·행정 리스크

     

    • 유실·유기동물 대상 실험이 사실이면 동물보호법 위반 소지
    • 윤리위원회 심의 없이 평가·실험 진행 시 과태료 대상
    • 유기동물 사체 처리 절차 위반 시 행정제재(센터 지정 취소 등) 가능

     

     

    향후 절차 전망

     

    고발장 접수 → 경찰 수사(의무기록·영상·이관서류·윤리위 심의자료 확인) → 법리 판단(실험 해당성, 절차 준수 여부) → 처분·기소 여부 결정

     

     

    제도 개선 논의 포인트

     

    • 동물실험 3R 원칙(대체·감소·개선) 강화
    • 보호소-연구기관 간 이관 시 투명성·추적성(서류, 공개) 의무화
    • 안락사 사체 교육·연구 제공 예외 허용 범위와 안전장치 논의

     

     

    시민·보호소 체크리스트

     

    • “치료 후 입양” 등 외부 이관 시 다음을 확인하세요.
    – 인수기관 정보(사업자·동물병원/연구시설 여부, 윤리위원회 설치 여부)
    – 목적·활용 계획을 명시한 서면 동의서
    – 윤리위원회 심의·승인서(해당 시)
    – 사후 경과 보고 및 입양 결과 공개 약속

     

     

    자주 묻는 질문

     

    Q. 카데바란?

    의료 교육·연구를 위한 해부 실습용 시신을 뜻합니다. 인체 카데바는 생전 기증 의사와 유족 동의 등 엄격한 절차를 거칩니다. 동물의 경우도 교육·연구 활용 시 별도의 법령·윤리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마무리

     

    핵심은 “입양”의 진정성, 실험·평가의 존재와 절차 적법성, 사체 처리의 합법성입니다. 사실관계가 신속·투명하게 규명되고, 보호소와 연구기관의 이관·실습 관행이 제도적으로 정비되길 바랍니다.

     

     

    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
    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
    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
    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정읍보호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