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기자들과 같은 눈높이에 앉은 대통령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자회견은 사전 각본 없이 121분간 진행됐습니다. 국내 119개 매체와 외신 28곳이 참여했고, 풀뿌리 언론도 원격 참여했습니다. 대통령은 기자들과 1.5m 거리 반원 형태로 같은 눈높이에 앉아 소통했습니다.

     

     

    즉석에서 질문자 지목, 여성 기자 우대

    질문자는 무작위로 지목하거나 제비뽑기로 선정됐고, 대통령은 “여성으로 하겠다”고 말하며 여성 기자를 선택하기도 했습니다. 일본 산케이신문 기자 질문에 “우리 전에 점심 먹을 때 한번 봤던 분이신가요”라고 되물으며 가짜뉴스를 지적했습니다.

     

     

    통신사 기자 질문 기회 배려

    예정된 시간보다 21분 넘겨 진행된 말미에는 “통신사들한테 기회를 좀 주시라. 연합뉴스 이런 데는 (질문) 못 하지 않았느냐”라며 직접 질문 기회를 주었습니다.

     

     

    검찰 인사 논란에 대한 비유

    “시멘트, 자갈, 모래, 물을 섞어야 콘크리트가 된다. 그런데 시멘트만 잔뜩 모으면 그냥 시멘트 덩어리가 된다. 모래만 잔뜩 모으면 모래 덩어리만 될 뿐이다.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
    “공직사회는 로봇 태권브이(V)와 비슷해서 그 자체로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그런데 헤드 조종 칸에 철수가 타면 철수처럼 행동하고, 영이가 타면 영이처럼 행동한다. 철수나 영이가 아무것도 안 하면, 결국 공직사회 그 자체가 제자리에 주저앉아서 엉뚱한 행동을 하게 된다.”

     

    여야 회담 정례화와 비공개 모임 조건

    “공식 비공개 모임 자주 할 수 있다. 이런 것은 대화 내용 보안을 지켜주는 게 좋다. 요즘 여러분도 그러실 수 있는데, 말하기 무섭죠? 녹음 당하지 않을까 해서. 실제 그렇다. 비공개 모임 같은 경우 만나는 건 공식적으로 만나지만, 마음속에 있는 할 얘기 다 하자는 것이다. 그런데 그중 일부를 떼어서 공격 소재로 쓰거나 하면 그다음에 만나기 어렵다.”
    “설마 야당이 그런 주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 믿지만, 극단적인 예를 들어 ‘이때까지 10개를 매년 훔쳐왔는데 앞으로는 8개만 훔치자, 아니면 2개 훔치는 것은 허용하자’ 이런 것은 양보할 수 없고, 양보라고 할 수도 없다. 그건 야합이다.”

     

    접경지역 평화·남북관계 개선 방안

    “변호사 일을 하며 상담을 많이 했는데, 그중에 부부 갈등 상담을 많이 했다. 근본적 원인도 대충 알겠고, 헤어지는 게 해결책인가? 자세히 들여다보면 오해가 오해를 낳고, 갈등이 갈등을 낳고, 불신이 불신을 낳고, 미움이 미움을 낳아서, 사실 원래는 요만한 사안이었는데 감당 못 하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라. 그래서 제가 ‘부부 클리닉 같은 데 가서 남녀 역할을 바꾸는 것 한번 해봐라. 이후에 다시 상담을 하자’고 한 경우가 많았다. 대개 부부상담실 갔다 온 부부는 다시 오지 않았다. 역할을 바꿔보니 이해하게 되는 거다. 사람 관계도, 여당과 야당의 관계도, 남과 북의 관계도, 진영과 진영의 관계도 비슷하다 생각한다. 대화와 소통 정말 중요하다 생각한다. 서로에게 득이 되는 길로 가자, 절멸하는 게 목표가 아니라면 가능하면 우리가 안전한 범주 내에서 서로에게 득이 되는 길로 가자. 그리고 공존이다.”

     

    풀뿌리 지역언론 소멸위기 질문 답변

    “지방 입장에서는 수도권 신도시는 ‘목마르다고 소금물 계속 마시는 것 아니냐’ ‘수도권 집중 불러오지 않느냐’, 맞는 말이지만 이미 하기로 한 것, 결정된 것은 바꿀 수는 없다. 추가로 새로 만들어지는 지방균형발전, 성장발전 전략 측면에서 검토해봐야 할 것 같다. 옥천에 갑자기 볕이 들지는 잘 모르겠다. 너무 급격한 수도권 집중 흐름은 일단 완화되지 않겠냐 기대해도 되겠지만, 옥천에 갑자기 볕이 들지, 옥천이 엄청 좋아질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옥천 포함한 소멸지역에 대한 각별한 대책은 계속 구상하고 집행해 나갈 생각이다.”

     

    검찰 개혁 방향

    “수십년간 저도 법조인으로 송사에 매달려서 먹고 살았다. 기소 자체를 목표로 수사하고, 기소에 맞춰 사건을 조작하는 것은 결코 있어선 안 된다. 법언에,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법률에 전해오는 금언에 이런 말이 있다. ‘10명 범인은 놓쳐도 한 명 억울한 사람 만들면 안 된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해수부·해사법원

    “해양수산부 이전 얘기를 하면 부산 상황은 사실 매우 심각하다. 수도권에서 거리가 멀면 멀 수록 심각하다. 충청지역은 그래도 수도권 내에서 출퇴근도 하고, 소위 (출퇴근) 남방한계선이라고 해서, 그 남방한계선이 점점 내려 오고 있기 때문에, 남방한계선을 완전히 벗어난 남도지방들, 호남, 영남, 강원, 경북 이런 데보다는 좀 낫다. 균형발전을 위해 대전, 세종 이런 쪽으로 공공기관이 집중 이전했는데, 우리 대전·충남 시민들이 (해수부) 하나를 부산으로 옮기는 거 ‘절대 안 돼’, 그러시지 않을 거라 본다.”
    “(해양수산부가 부산으로 가니) 해사법원은 부산은 안 되고 인천에 해야 한다? 둘 다 하면 되지 않나? 수요가 있을 테니 둘 다 하면 된다. 인천에도 하고 부산에도 하고.”
    반응형